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91

흉년, 죽음, 생명 룻기 1:1~14 룻기 1장 1절부터 14절까지는 이스라엘의 베들레헴에 흉년이 들면서 시작됩니다. 이로 인해 엘리멜렉과 그의 아내 나오미, 그리고 두 아들 말론과 기룐은 모압으로 이주하게 됩니다. 그러나 모압에서 엘리멜렉과 두 아들이 사망하고, 남은 것은 나오미와 두 며느리인 오르바와 룻뿐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이스라엘의 영적 상태를 반영하며,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1. 흉년과 하나님의 심판룻기 1장 1절은 "사사들이 치리하던 때에..."로 시작됩니다. 사사 시대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떠나 우상을 숭배하던 시기로, 그 결과로 흉년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백성의 죄에 대한 징계로 보내신 심판의 한 형태입니다.  [룻기 1:1~14] 우리가 붙들고 의지해야 할 분은? ::.. 2025. 1. 28.
그날에 임할 치료의 광선 말라기 4:1~6 말라기서의 마지막 장인 4장은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날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1절부터 6절까지는 교만과 악을 행하는 자들에 대한 심판과, 하나님의 이름을 경외하는 자들에게 임할 구원의 약속을 강조합니다. 1. 교만과 악을 행하는 자들의 심판 (말라기 4:1)"보라, 용광로 불같은 날이 이르리니..." 이 구절은 하나님의 심판의 날이 마치 용광로의 불처럼 강렬하고 치명적일 것임을 경고합니다. 교만과 악을 행하는 자들은 마치 지푸라기처럼 타버릴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말라기 4:1-6 전능하신 여호와께서 말씀하신다. “보라! 용광로의 불과 같은 심판의 날이 올 것이다. 그 날에는 교만한 자와 악을 행하는 자가 다 지푸라기처럼 타서 없어질 것이며 그들 중에는 하나도 살아 남는자가 없을 것이다.. 2025. 1. 28.
사랑의 정의 고린도전서 13장 4절-7절 고린도전서 13장 4절부터 7절까지는 사랑의 본질과 특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우리에게 가르쳐줍니다. 이 구절들은 사랑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과 태도를 통해 나타나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1. 사랑의 특성오래 참음: 사랑은 어려움과 시련 속에서도 인내하며 기다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집니다. 이는 상대방의 부족함이나 실수를 용납하고, 그들의 성장을 믿으며 기다리는 자세를 의미합니다.온유함: 사랑은 부드럽고 친절한 태도를 유지하며,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을 배려하는 모습과 같습니다.시기하지 않음: 사랑은 질투나 시기를 허용하지 않으며, 타인의 성공과 행복을 진심으로 기뻐합니다.자랑하지 않음: 사랑은 자신의 업적이나 능력을 과시하지.. 2025.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