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빙부상과 빙모상은 장례식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각각 장인어른과 장모님의 부고를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이 단어들은 평소에 자주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빙부상과 빙모상의 뜻과 사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빙부상의 뜻
- 빙부(聘父): '빙'은 '부르다' 또는 '장가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는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빙부는 '장가들어 얻은 아버지'를 뜻하며, 다른 사람의 장인어른을 높여 부르는 표현입니다.
- 빙부상: 빙부상은 장인어른의 부고를 높여 부르는 말로, 사위가 아닌 제3자가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장인어른이 돌아가셨을 때 "빙부상에 조의를 표합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카드뉴스] 빙부상·빙모상 무슨 뜻? 부고 관련 용어5 < 사회일반 < 정치·정책 < 기사본문 - 한스경제
[카드뉴스] 빙부상·빙모상 무슨 뜻? 부고 관련 용어5 - 한스경제
빙부상, 빙모상 등 부고와 관련된 용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몇 가지를 정리해봤다.■빙부상·빙모상빙부상은 아내의 아버지, 즉 장인어른이 돌아가신 것을 의미하고,빙모상은 장모가 돌아가
www.hansbiz.co.kr
빙모상의 뜻
- 빙모(聘母): '빙'은 '부르다' 또는 '장가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모'는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빙모는 '장가들어 얻은 어머니'를 뜻하며, 다른 사람의 장모님을 높여 부르는 표현입니다.
- 빙모상: 빙모상은 장모님의 부고를 높여 부르는 말로, 사위가 아닌 제3자가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장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빙모상에 조의를 표합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사용 시 주의사항
- 본인의 경우: 자신의 장인어른이나 장모님이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빙부상이나 빙모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장인상', '장모상'이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 제3자의 경우: 빙부상과 빙모상은 제3자가 고인의 부고를 높여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 살아계신 분들께 사용 금지: 빙부상과 빙모상은 부고와 관련된 표현이므로, 살아계신 분들께는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관련 예절
빙부상이나 빙모상과 같은 부고를 접했을 때는 적절한 조문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례식장에서의 예절과 조의금 전달 방법 등을 숙지하여 유족에게 예의를 갖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빙부상과 빙모상은 고인에 대한 존경과 슬픔을 표현하는 동시에, 유족을 위로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이 단어들의 정확한 뜻과 사용법을 이해하여 적절히 활용해보세요.
반응형